본문 바로가기

터래기의 취미 활동

다이어리 어떻게 쓰면 좋을까?

반응형



2025년 새해 목표는
매일매일 다이어리 쓰기이다.
물론 하루도 안빼놓고 쓰긴 어렵겠지만
그래도 내 일생에서 초등학교 6학년때 처음으로
다이어리를 선물받은 이후로
언제나 다이어리 기록은 빼놓을 수 없는 것이었다.

백현이의 시즌 그리팅 다이어리는
예쁘면서도 심플했다.
그리고 뭔가 나의 이야기를 속편하게
기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.

소중한 일기를
잘 기록하기 위해서
다이어리 기록방법에 대해
알아보자!


다이어리의 구성


다이어리는 보통
새해목표와 연중행사를 기록하는 Yearly와
Monthly, Weekly, Daily
이렇게 4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.

유튜브 Bum G의 다꾸 영상 참고

/

Monthly


**기록 내용**
  - 구체적인 월간 목표 설정
예 : 체중 -2kg 감량하기
  - 주요 이벤트 및 일정 (출장, 생일, 기념일 등)
  - 월간 반성 및 다음 달 계획

**기록 방법**:
  - 각 월의 첫 페이지에 목표와 일정을 요약
  - 월말에 달성한 성과와 개선점을 기록


/

Weekly

**기록 내용**
  - 주간 계획 및 목표
1. 한주간 추진 업무
2. 개인 프로젝트 달성 목표
3. 학습 진행 계획

  - 주요 미팅이나 약속
  - 주간 리뷰
(성취한 것, 개선점, 다음 주 계획)

- **기록 방법**:
  - 주간 계획은 월요일 또는 주말에 작성
  - 매 주말에 회고를 통해 다음 주 계획 수립


/

Daily

**기록 내용**
  - 하루의 주요 활동
(업무, 운동, 공부 등)
  - 감정 기록
(오늘의 기분, 감정 변화 등)
  - 일일 목표 및 달성 여부
  - 감사일기 (오늘 감사한 일)

**기록 방법**:
  - 아침에 오늘의 목표를 설정
  - 저녁에 오늘의 활동과 감정을 기록
  - 하루를 마무리하며 감사한 일을 적음



  이러한 구조는 개인의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,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중점을 두어 기록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특정 프로젝트에 집중해야 한다면 일간 기록에 그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더 자세히 적는 식이다.


반응형